2024년도 SQLD 55회 쉽지만은 않아요,,, 시험 합격후기 직장인 합격비법 공부방법
1. 응시회차 / 시험결과
2024년도 제일 마지막 회차인 55회 SQLD 자격증에 합격했다!
어제 12/6일자로 사전점수 발표를 했다. 72점!
1과목 문제에서 답을 수정한 게 2개 있었는데
다 틀려서 여기서 1-2개만 더 틀려도 60%가 안 넘기 때문에
1과목 과락으로 떨어질 수도 있을거라 조마조마했었다.
그렇지만 딱 그 2개 틀리고 나머지는 맞았다!! 그래서 합격~
2. 응시배경 / 취득목적
프론트 개발자로 취업한 지 9개월이 다 되어간다.
투입된 프로젝트 특성상 공장 시스템을 개발하기 때문에
데이터 양이 무지하게 많고 각 데이터가 가진 속성이 무려 기본 20-30개가 넘는다.
개발하다 보면 테스트를 많이 해봐야 하는데
꼬인 데이터나 쓰레기 데이터가 많아서 테스트하기가 어지간히 어려웠다.
값을 잘못 넘겨서 데이터가 안 나오는지 진짜 DB에 데이터가 없는 건지
백엔드 분께 매번 물어보면서 확인하는 과정이 번거롭다 느꼈고
설계자분들도 DB조회 정도는 하실 줄 아시길래
쿼리 해석, DB조회 정도는 내가 해보자! 싶어서 SQL을 공부하기 시작했다.
SQLD 시험 난이도가 하도 쉽다길래 공부 결과물도 남겨볼까 싶어 응시했다.
(쉽지 않아요! 1-2주 만에 합격했다는 글은 사전지식이 있으신 분들,,ㅜ)
3. 준비기간 및 준비방법
- 준비기간 : 3주
시험 리뷰글들을 보면서 2주로 잡았다가 시간이 부족했다는 글을 보고 준비기간을 3주로 잡았다.
- 참고자료 :
1)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(일명 노랭이)
2) 이기적 SQL 개발자 이론서+기출문제
3) 홍쌤 데이터랩 유튜브 강의
4) 데이터전문가포럼 카페
1째주
1. 용어 익히기 :
⁍ 홍쌤 데이터랩 1-2과목 요약본 영상을 출퇴근 시간에 계속 쭉 봤다. (못 알아들어도 익숙하게 하기 위한)
영상 하나당 1시간~2시간이기 때문에 일주일 동안 쉬엄쉬엄 출퇴근시간에 30-40분씩 쪼개서 봤었다.
2째주
1. 문제에 대한 감 잡기
⁍ 노랭이 책 1-2과목 일단 풀어보기 (2과목부터 좌절도 맛보기, 쿼리 긴 문제들은 거의 못 풀었음)
2. 개념 디테일하게 잡기
⁍ 개념서에 대한 갈급함으로 이기적 서적을 구매함 => 이기적 개념서 보면서, 책 인증하면 볼 수 있는 개념 영상도 같이 봄
3. 노랭이로 돌아가 다시 문제 풀어보기
⁍ 노랭이 책 맞은 문제 + 틀린 문제 쭉 다시 풀어보기 (1회독) + 해설 이해 안 가면 카페에 문제 검색하면서 봄
3째주
1. 문제 무조건 많이 풀기
⁍ 노랭이 책 틀린 문제 쭉 다시 풀어보기 (2회독)
⁍ 이기적 기출문제 하루에 2개씩 풀면서 오답노트 ⭐️(도움됨)
하루 전 날
1. 헷갈리는 개념만 다시 보기
⁍ 노랭이와 이기적에서 틀린 문제들 오답노트한 것 다시 한번 개념 보기
⁍ 홍쌤 기출문제 풀이 영상 봄 (이 영상 도움 진짜 많이 됨. 진작에 노랭이 오답할 때 볼걸 후회함)
⁍ 이번에 추가된 범위만 따로 찾아서 영상 봄 (홍쌤 신유형 포함 기출문제 편) ⭐️(도움됨)
4. 아쉬운 부분
1) 쿼리를 눈으로 해석하기에 머리가 어지러웠다. 조금만 시간 여유 있게 잡았다면
DB툴 깔아서 직접 쿼리 실행해 보면서 학습하면 학습효과 좋을 것 같다고 느꼈다.
2) 노랭이 풀기 전에, 이기적 기출문제 먼저 풀어도 좋을 것 같다. 노랭이보다 난이도가 낮고 반복되는 문제가 많아서 개념잡기에 좋았다.
3) 홍쌤 기출문제 풀이 보면서 노랭이 오답노트 해도 좋았을 것 같다.
(노랭이 해설집은 설명이 별로이고, 카페는 일일이 찾아야 하기 때문에)
5. 응시 후 느낀 점 / 체감 난이도 ★★★★☆
1) 시간이 부족하지는 않았다. 한 번 더 검토할 시간이 되었으나, 헷갈리는 문제가 진짜 많아서 어렵다고 느꼈다ㅜ
2) 쿼리해석은 노랭이에서 본 유형들이 꽤 나왔는데,
개념을 묻는 질문에서 노랭이에서 보지 못한 부분들도 꽤 있어서 개념은 꼼꼼히 다 보는 것을 추천한다!
3) 이번에 새로 추가된 범위에 대한 리뷰가 적어서 소홀히 했더니 기억상 4문제? 는 나온 것 같아서 당황했다.. (피벗/언피벗, 정규표현식!!)
4) 매번 나오는 단골 문제들은 개념 완전히 확실하게 잡을 것! (정규화, 그룹함수, 서브쿼리 문제 등등)
=> 그래야 살짝 꼬는 문제 있어도 확신 있게 풀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