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js CRUD
- sqld 55회
- 프론트엔드개발자
- 국비지원
- firebase rules
- foreach
- TypeScript
- 야놀자x패스트캠퍼스
- map
- 리액트오류
- 2024 sqld
- Filter
- 야놀자 fe 1기
- css 꿀팁
- react hook
- 국비지원취업
- github
- 패스트캠퍼스
- Where
-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
- 성능개선
- sqld 자격증 시험
- promise 비동기처리
- 부트캠프
- 퍼블리셔 이직후기
- git
- Firebase
- 프론트엔드부트캠프후기
- 부트캠프 취업후기
- reduce
- Today
- Total
Tech is created to fix problem
HTTP vs WebSocket 본문
이번 과제는 "채팅기능을 사용한 서비스"를 만드는 것이었다.
채팅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해주어야 한다.
그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프로토콜의 한 종류인 WebSocket 이다.
채팅, 알림기능 등등 WebSocket 이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.
기본적으로 접했던 HTTP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request 를 하면 response 해주는 것인데
HTTP 와 WebSocket 를 비교했을 때 무엇이 다를까?
HTTP의 특징
Stateless
Stateless =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것 즉 유저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.
유저를 기억하지 못하면 데이터 주고받고 한 번 하면 유저를 잊어버리게 된다.
통신 후에 그 다음 request 를 기다릴 뿐이다.
그래서 로그인한 서비스의 경우 request 할 때, 계속 헤더에 auth를 넣어주는 것이다.
그러면 그 auth에 일치하는 profile 로 응답을 해준다.
HTTP의 가장 큰 특징은 오직 req 가 있어야 서버가 res 를 준다는 것.
WebSocket의 특징
그러나 WebSocket 의 경우 손잡는 것과 같이 한번 서로 연결되면 유저를 기억한다!!!
말그대로 연결중에 양방향이 성립된다.
연결되어있다는 가정하에 브라우저-서버 간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
브라우저가 서버에게 어떤 때나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,
서버는 브라우저에게 어떤 때나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.
ex) wifi 한번 연결하면 지속되는 것처럼
그리고 webSocket은 언어가 아니다. 브라우저에 내장되어있는 API이다.
'프로토콜 및 데이터 이슈 > HTT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북 Certbot으로 ssl 인증서 직접 설치 Certbot failed to authenticate some domains (카페24, 워드프레스) (8) | 2024.07.29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