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국비지원취업
- github
- sqld 자격증 시험
- 야놀자x패스트캠퍼스
- 성능개선
- 야놀자 fe 1기
- TypeScript
- Filter
- Firebase
- 2024 sqld
- 국비지원
- react hook
- map
- promise 비동기처리
- 부트캠프 취업후기
- git
- reduce
- Where
- js CRUD
- sqld 55회
- 패스트캠퍼스
- foreach
- 프론트엔드부트캠프후기
- 퍼블리셔 이직후기
- 리액트오류
- 프론트엔드개발자
- firebase rules
- css 꿀팁
- 부트캠프
-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
- Today
- Total
목록프로토콜 및 데이터 이슈/HTTP (2)
Tech is created to fix problem

나는 워드프레스로 운영 중인 사이트가 몇 개 있다.크롬에서는 모든 사이트마다 보안인증서 SSL 설치를 권장하기 때문에혹시 설치하지 않았다면 url 상단에 되게 보기 싫은 권장 문구가 뜬다. 그래서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ssl 인증서를 3개월 전에 WP Encryption이라는 플러그인으로 설치했었다.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BmWSg6HBWNc(은근 많이 보게 되는 WordPress tutorial님,,,,) 그러고 분명 달력에 만료일을 적어두었건만ㅜ 깜빡하고 인증서 만료가 되었다.그래서 사이트에는 아래와 같이 경고가 떴고 (안전하지 않음) 을 눌러야지만 http라도 사이트 접속이 된다. 기존에는 WP Encryption 플러그인으로 ssl 발급을 진행했는데어느새 이 플러그..

이번 과제는 "채팅기능을 사용한 서비스"를 만드는 것이었다. 채팅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해주어야 한다. 그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프로토콜의 한 종류인 WebSocket 이다. 채팅, 알림기능 등등 WebSocket 이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. 기본적으로 접했던 HTTP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request 를 하면 response 해주는 것인데 HTTP 와 WebSocket 를 비교했을 때 무엇이 다를까? HTTP의 특징 Stateless Stateless =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것 즉 유저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. 유저를 기억하지 못하면 데이터 주고받고 한 번 하면 유저를 잊어버리게 된다. 통신 후에 그 다음 request 를 기다릴 뿐이다. 그래서 로그인한 서비스의 경우 req..